아일랜드 국립 고고학 박물관/National Museum of Archeology
(2025년 5월 13일)
박물관에 입장하면 바로 보이는 '아일랜드의 황금 더미' 전시방(#2)
국립 박물관 1층 배치도
선사시대의 인간들은 기원전 8,000년 때부터
청동 소재로 물건을 만들기 시작했고,
기원전 4,500년 전부터 황금으로 제작한 물건들을
불가리아 바르나에서 발견되었다.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황금 소재로 만든 아이템은
구슬로 기원전 4000-3,500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서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황금 물건은 스페인에서
기원전 4,000-3,000 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하지만 진정한 황금 소재 작업은
기원전 2,500년 경에 시작되었으며,
이 시기에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황금과 더불어
구리와 청동 제작이 활발하게 시작되었다.
황금은 다른 금속과 달리 녹슬지 않고
늘 황금빛을 띠고 있어서
태양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믿었기에
선사시대 인간들에겐
아주 특별한 금속으로 받아들여졌다.
Decorated Stone/조각으로 꾸며진 암석
2,500 - 1,700 BC; Cork Co.
청동기 시대 초반의 금세공
이 시기의 금세공들은 소량의 금으로
한정된 기능의 물건들을 만들었는데,
이들은 황금을 망치로 내리쳐서
아주 얇게 판을 만든 후,
바스켓 귀걸이와 머리를 고정하는 둥근 링,
태양-디스크와 '루널라'로 불리는
초승달 모양의 목걸이를 제작했다.
아울러 황금 밴드와 황금 태양-디스크도
이 시기에 제작되었다.
Two Gold Lunulae
황금 루널라 목걸이 2점
c. 2,000 BC; Derry Co.
Vase, Bronze Dagger and Gold Mount
청동 칼과 황금 마운트
c. 1,800 BC; Fermanagh Co.
Jet Necklace/제트 목걸이
c. 2,000 BC; Derry Co.
1. Gold Lunula/황금 루널라 목걸이
c. 2,000 BC; Cavan Co.
2. Gold Lunula/황금 루널라 목걸이
c. 2,000 BC; Westmeath Co.
3. Gold Lunula/황금 루널라 목걸이
c. 2,000 BC; Tyrone Co.
8. Gold Lunula found in a wooden box
나무 상자에서 발견된 황금 루널라 목걸이
2,460-2040 BC; Cavan Co.
9. Hoard of Three Gold Lunulae
황금 루널라 목걸이 3점
c. 2,000 BC; Kerry Co.
10. Gold Lunula/황금 루널라 목걸이
c. 2,000-1,800 BC; Sligo Co.
11. Gold Lunula/황금 루널라 목걸이
c. 2,000 BC; Galway Co.
1. Pair of Gold Earrings/황금 귀걸이 세트
c. 2,200-1,800 BC
2. Pair of Gold Discs/황금 디스크 세트
c. 2,200-1,800 BC; Cork Co.
3. Pair of Gold Discs/황금 디스크 세트
c. 2,200-1,800 BC; Mayo Co.
4. Gold Disc/황금 디스크
c. 2,200-1,800 BC
1. Gold Lunula/황금 루넬라 목걸이
c. 2,000 BC; Westmeath Co.
2. Gold Lunula/황금 루널라 목걸이
c. 2,000 BC; Roscommon Co.
3. Gold Lunula/황금 루널라 목걸이
c. 2,000 BC; Kerry Co.
1. Gold Disc/황금 디스크
c. 2,200-1,800 BC
2. Pair of Gold Discs/황금 디스크 세트
c. 2,200-1,800 BC; Managhan Co.
3. Gold Lunula and Two Gold Discs
황금 루널라 목걸이와 디스크 세트
c. 2,200-1,800 BC; Roscommon Co.
4. Pair of Gold Discs
황금 디스크 세트
c. 2,200-1,800 BC; Rocommon Co.
5. Gold Disc
황금 디스크
c. 2,200-1,800 BC; Wexford Co.
Hoard containing Three Gold Bracelets,
A Folded Gold Rod and a Gold Ring
황금 팔찌 3점, 접힌 황금 로드와 황금 반지
c. 1,200-1,000 BC; Cork Co.
Hoard containing a Gold and Leather Necklet,
Two Gold Bracelets, Two Gold Hair Rings and Copper Wire
황금과 가죽 목걸이, 황금 팔찌 2점,
황금 머리 묶는 링과 구리철사
1,740-1,450 BC; Offaly Co.
청동기 후반/1,200-1,000 BC
기원전 1,200년 즈음에 황금 소재의 제작 과정과
디자인에 큰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이 시기에 금을 비튼 테크닉으로 만든
Torc 목걸이가 이 시기에 제작되었다.
아울러 다양한 사이즈의 귀걸이와
허리 벨트도 제작되었다.
이 장신구들을 만들려면
많은 양의 황금이 필요한데,
이는 새로운 금광이 발견되었음을 추정된다.
Hoard containing Three Gold Bracelets
and Two Gold Grooved Bands
황금 팔찌 3점과 홈으로 파인 황금 밴드 2점
c. 1,200-1,000 BC; Kildare Co.
1. Gold Torc/황금 목걸이
c. 1,200-1,000 BC; Down Co.
2. Gold Torc/황금 목걸이
c. 1,200-1,000 BC; Mayo Co.
3. Hoard containing Two Gold Torcs
황금 목걸이 2점
c. 1,200-1,0000 BC; Carlow Co.
1. Gold Torc/황금 비튼 디자인의 목걸이
c. 1,200-1,000 BC; Wexford Co.
2. Gold Torc/ 황금 비튼 디자인의 목걸이
c. 1,200-1,0000 BC; Armagh Co.
3. Gold Torc/ 황금 비튼 디자인의 목걸이
c. 1,200-1,0000 BC; Donegal Co.
1. Gold Turc/황금 목걸이
c. 1,200-1,000 BC; Westmeath Co.
2. Hoard containing Two Gold Torcs
황금 목걸이 2점
c. 1,200-1,000 BC; Meath Co.
1. Gold Lunula/초승달 모양의 황금 목걸이
Waterford; c. 2000 BC
2. Two Gold Bracelets/ 황금 팔찌 2점
c. 800-700 BC/Meath
3. Gold Torc/황금 사슬
c. 1200-1000 BC
청동기 후반 시기 1,000-500 BC
이 시기에 아일랜드에서 제작된 최상의 품질을 자랑하는
황금판 /Sheet Gold를 제작해서 이 소재로 주로
목걸이와 귀걸이를 제작했다.
1. Gold Disc, perhaps a Terminal from a Collar
목걸이의 끄트머리로 추정되는 황금 디스크
c. 800-700 BC; Armagh Co
2. Hoard Containing Two Gold Bracelets,
Two Gold Dress Fasteners and a Gold Disc
황금 팔찌 2점, 의상 고정 장신구 2점과 황금 디스크
c. 800-700 BC; Cavan Co.
Hoard containing Two Gold Dress Fasteners,
a Gold Bracelt and Four Gold Ear-Spools
의상 고정 장신구 2점, 황금 팔찌와
실패 모양의 황금 귀걸이 4점
c. 800-700 BC; Wexford Co.
8. Bronze Bracelet/청동 팔찌
c. 800-700 BC; Cork Co.
9. Bronze Spearhead/청동 활촉
c. 800-700 BC; River Shannon
10. Bronze Sword/청동 칼
c. 800-700 BC; Laois Co.
11. Bronze Cauldron/청동 가마솥
c. 800-700 BC; Askey Bog, Roscommon Co.
5. Unfinished Gold Bracelet/미완성 황금 팔찌
c. 800-700 BC
6. Finished Gold Bracelet/완성된 황금 팔찌
c. 800-700 BC
7. Unfinished Gold Dress Fastener/미완성 황금 의상 고정 장신구
c. 800-700 BC; Cork
8. Finished Gold Dress-Fasterner/완성된 의상 고정 장신구
c. 800-700 BC; Leitrim
Hoard Contaning Four Gold Bracelets
and a Gold Dress Fastener
4 점의 황금 팔찌와 황금 의상 고정 장신구
c. 800-700 BC; Waterford Co.
Hoard Containing Three Gold Bracelets
and a Gold Sunflower Pin
황금 팔찌 3점과 해바라기 황금
c. 800-700 BC; found in Meath
1. Gold Collar/황금 목걸이
c. 800-700 BC; found in Tipperary Co.
2. Gold Collar/황금 목걸이
c. 800-700 BC; found in Clare Co.
1. Gold Collar/황금 목걸이
c. 800-700 BC; Tipperary Co.
c. 800-700 BC
2. Gold Collar/황금 목걸이
c. 800-700 BC; Ireland
Hoard Containing a Gold Collar,
Two Gold Bracelets, Two Gold Lock-Rings
and a Gold Sleeve Fastener
황금 목걸이, 황금 팔찌 2점, 황금 반지 2점
그리고 황금 소매 여미는 장신구
c. 800-700 BC; Clare Co.
철기 시대의 황금
철기시대 시기에 제작된
황금 소재 장신구의 숫자는 청동시대보다 아주 적다.
이 시기에 은 소재돠 25-30% 혼합된 합금 소재로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 시기에 주로 제작된 황금 아이템은
나선 모양으로 여러 번 비틀어진 다양한 디자인의
리본 목걸이/Torc 장신구였다.
아일랜드 금세공들은 프랑스 남부의 장인들이 사용했던
테크닉과 디자인을 따라 제작했다.
Part of a Hoard of Gold Ornaments consisting of Collars,
Bracelets, Two Neck Rings and a Double Ring
황금 목걸이, 황금 팔찌 더미와
황금 목걸이 2점과 더블 반지
c. 800-700 BC; Clare Co.
1. Gold Collar/황금 목걸이
c. 800-700 BC; Limerick Co.
2. Gold Collar/황금 목걸이
c. 800-700 BC; Clare Co.
박물관 1층에 소재한 아일랜드 황금 장신구 전시방의 모습
박물관 1층에 소재한 아일랜드 황금 장신구 전시방의 모습 2
Hoard containing Two Gold Dress Fasteners,
Two Socketed Bronze Axeheads, A Bronze Bracelet
and Eleven Amber Beads
황금 의상 고정 장신구 2점,
청동 도끼날 2점, 청동 팔찌,
그리고 엠버(호박) 구슬 11알
c. 800-700 BC; Cork Co.
Hoard of Two Bronze Axeheads,
Bronze Rings and Bronze Ornaments,
including Two Gold Foil-Covered Sunflower Pins
청동 도끼날 2점, 청동 반지와 다양한 장신구들,
그리고 도금한 해바라기 핀 2점
c. 800-700 BC; Laois Co.
TO BE CONTINUED...
'Travel Log > 아일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일랜드 여행11]활기찬 더블린 Grafton 거리/뷸리 카페/성 테레자 갈멜 성당/Bewley's Oriental Cafes/St. Teresa's Church (9) | 2025.06.18 |
---|---|
[아일랜드 여행10]올드 도서관의 롱 룸/Long Room/Old Library/Trinity College (9) | 2025.06.15 |
[아일랜드 여행9]더블린의 명소 템블바를 섭렵해보다/Temple Bar in Dublin (19) | 2025.06.12 |
[아일랜드 여행8]트리니티 컬리지에 소장된 희귀하고 귀중한 켈스 성경/Book of Kells (12) | 2025.06.10 |
[아일랜드 여행7]아일랜드의 명문 대학 트리니티 컬리지 더블린/Trinity College Dublin (19) | 2025.06.06 |
[아일랜드 여행6]더블린의 역사가 배인 성 스티븐 그린 공원/St. Stephen's Green Park (20) | 2025.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