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Welcome to Wildrose Country
Travel Log/네덜란드

[네덜란드 여행22]할렘의 프란스 할 박물관스에 소장된 작품들 (2편)/할렘 이야기 4/Frans Halsmuseum in Haarlem

by Helen of Troy 2019. 10. 27.


 

Sara Rothé's Doll's House(사라 로테의 인형의 집) 앞에서...





Haarlem Silver (할렘 은기들)


18세기 초반에 할렘에서 제작된 다양한 도자기들이 전시된 방




같은 방에 전시된 유리용기들과 은용기들





The output of silver utensils rose dramatically in the 18th century: tobacco jars,

mustard pots, salts and other items of tableware were made of silver.

Tea drinking increasingly became a social activity for all classes.

Those who could afford it brewed their tea in a silver teapot or infuser and used

a silver milk jug, sugar bowl or sugar caster.  Ornaments with tassels and

chased shells combined with beaded edges are typical of 18th c. Haarlem silver.


 18세기에 들어서면서, 담배용기, 겨자용기, 소금&후추 용기등

은소재 가정 용품들이 급작스럽게 증가했다. 

아울러 사회 계층을 막론하고 차 마시기가 보편화되면서,

부유층은 은소재로 제작된 차와 관련된 

티팟, 우유 그릇, 설탕 용기등을 사용하게 되었다.




진열장 속에 전시된 다양한 은기들




18세기 초반에 할렘에서 제작된 차 용기들과 다양한 도자기들




Ceramic Tea Infuser & ceramic trivet








































다음 방으로...





 거대한 작품이 벽에 걸려 있다.




De verheerlijking van Prins Willem I/The Glorification of Prince Willem I

빌렘 왕자를 칭송하기 위한 작품


by Hendrik Gerritsz Pot(포트: Amsterdam c. 1580 - Amsterdam 1657)

1620, oil on canvas


Willem I of Orange had been dead for some time when Haarlem decided to honor him

a portrait.  Here, he is welcomed by women of virtue.  Riding the elephants in front of

the triumphal carriage are the virtues, Faith, Hope and Love.  Groups of women carrying

pennons with the names of the various virtues.  Hendrik Pot was a pupil of Karel van Mander

and worked in Haarlem for the most part of his career.  The frame is contemporary with

the painting and was made by Dominicus Jansz Bagijn.


오렌지 왕가의 빌렘 1세를 경의를 표시하고자 할렘 도시가 이 작품을 의뢰했을 당시는

이미 빌렘 1세가 작고한지 몇년이 흐른 후였다.  믿음, 소망과 사랑 세가지 미덕을 상징하는 

여인들이 코끼리 등에 타고 승전의 대열을 이끌면서 빌렘왕을 환영해 주고 있다.






De verheerlijking van Prins Willem I/The Glorification of Prince Willem I(in detail)

빌렘 왕자의 칭송하기 위한작품


다양한 미덕이 적힌 깃발을 든 여인들도 이 행렬에 등장한다.






Aankomst van Frederik V van de Palts en Elisabeth Stuart te Vlissingen in mei 1613/

The arrival of Frederik V from the Palts and Elisabeth Stuart at Flushing in May 1613

프레데릭 5세와 엘리자베스 스튜어트가 탄 배가 1613년 5월에 항구에 도착


by Hendrik Vroom(브롬: Haarlem 1562/3 - Haarlem 1640)

1623, oil on canvas


The smoke of the salutes: the royal couple arriving on the Prince Royal,

flying the white flag with the English royal standard.  on the ship in the centre,

foreground, princes Maurice and Frederick Henry greet their guests.  This was a highly

important event for the United Provinces: Frederick V was a symbol of the Protestant cause

and the flight against Spanish aggression and the Inquisition.  

Hendrik Vroom is considered the forefather of Dutch maritime painting.


 1613년 5월에 팔트 출신의 네덜란드의 프레데릭 5세와 영국출신 공주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신부가 탄 

'프린스 로얄' 배가경의를 표하는 연기를 뿜으면서 항구로 들어 오고 있다(가운데 왼쪽 배). 

가운데 앞쪽에 보이는 오렌지 깃발을 단  배 안에는 새로 혼인한 커플을 마중 나온

모리스 왕자와 프레데릭 헨리 왕자을 비롯해서 귀족들이 타고 있다.


   이미 개신교 국가이며, 스페인과 앙숙인 영국과,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위해서 80년 전쟁을 벌리고 있는 전시 상태의 네덜란드는

이 혼인식은 동맹국으로서 아주 중요한 역사적인 이벤트였다.

이 신혼부부는 여기서 독일의 하이델베르크로 이동해서  그 곳에서 거주했다.




프레데릭 5세와 엘리자베스 스튜어트가 탄 배가 1613년 5월에 항구에 도착

by Hendrik Vroom(브롬: Haarlem 1562/3 - Haarlem 1640)




신혼 부부를 맞이하기 위해서 다가가는 

네덜란드의 모리스와 프레데릭 헨리 두 왕자가 탄 배




프레데릭 5세와 엘리자베스 스튜어트가 탄 배가 1613년 5월에 항구에 도착

by Hendrik Vroom(브롬: Haarlem 1562/3 - Haarlem 1640)









The Best Room

Doll's House Amidst Recent Acquisition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 doll's house used to be a real showpiece.

These miniature houses were not made to play with, but were an expensive

 hobby for well-to-do ladies.  These doll's houses give a fascinating insight into

 the daily life(in the higher circles) in those days.


The doll's house isi surrounded by a variable presentation of new acquisitions:

art that has recently been purchased by or donated to the museum.


17/18세기에 인형의 집은 대단한 자랑거리였다.

제작된 이 값 비싼 인형의 집은  당시 상류층의 여성들의 사이의 즐기던

취미생활로 가지고 노는 장난감이 아니라 그들의 부를 과시하기 위해서

제작되었으며, 당시의 부유층의 사생활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아이템이다.








실제 크기의 1/10로 정확하게 재생 제작된

사라 로테의 인형의 집/Sara Rothé's Doll's House






Sara Rothé's Doll's House


In 1743, Ploos van Amstel-Rothé bought three doll's houses and their contents at a sale

in Amsterdam.  They were converted into two new houses, this being one of them.

The other is in the Gemeentemuseum in The Hague.  Sara Rothé was a wealthy Amsterdam

woman for whom the doll's house was an expensive hobby.  In the 18th century

a doll's house was not a toy, it was regarded as an art cabinet-a miniature museum.


Everything for this doll's house was copied as faithfully as possible at a scale of 1:10;

there are 997 items of furniture and household effects.  The doll's house and its contents

relfect a luxuriously furnished home of a well-to-do 18th century family.









Doll's House




1. The Hall (홀)

2. The Doctor's Room (의사의 방)

Sara Rothé called this Ludeman's room, 

after Astrologus Ludeman, 

a famous quack doctor and astrologer.

On the back wall there are apothecaries' 

jar, pots of dried insects and real books  

that can be read.

3. The Red Moiré Room(붉은 모아레 방)

A rococo drawing room,

where cards could be played and 

the silver collection admired after dinner.

4. The Lower Hall(아래층의 홀)

For residents, servants and deliveries.

5. The Kitchen(부엌)

A working kitchen - not a show kitchen

as in other doll's houses of the time.



6. The Dining Room

    A table laid for a meal,

    and a privy-a toilet

    on the right at the back.

7. The Landing

8. The Lying-in Room

    The mother in the fourposter bed is

    being assisted by a dry nurse.

9. The Painted Room

    For receiving guests and making music.

10. The Storeroom

     Also used for drying, starching

     and folding the laundry.

11. The Pantry

     Converted into a bedroom in the 19th c.

12. The Nursery

      Beds for the children by the rear wall.








인형의 집을 자세하게 볼 수 있도록 놓여진 사다리를 타고 

가깝게 들여다 본 인형의 집 내부




3. The Red Moiré Room(붉은 모아레 방)


로코코 풍의 이 방은 카드게임을 하기도 하며,

저녁 식사 후 은식기들을 자랑하기도 하는 곳이다.

note: 모아레는 물결무늬의 실크천을 뜻한다.




5. The Kitchen(부엌)

이 부엌은 장난감용의 인형의 집의 보여주는 부엌이 아니라

실제로 사용이 가능한 부엌을 소형화시킨 소형 부엌이다.




 2. The Doctor's Room(의사의 방)


사라는 이 방을 유명한 점성가이자 돌팔이 의사였던 루데만의 이름을 따서

루데만의 방이라고 불렀다.

방 뒤의 벽에 놓인 약사의 장에 다양한 약 용기들과 말린 곤충들이 놓여 있으며,

실제로 읽을 수 있는 소형 책들도 꽂혀 있다.




6. The Dining Room


값비싼 은식기들과 컵이 세팅된 테이블과

오른쪽 뒤에 개인 화장실까지 겸비한 다이닝 룸이다.




8. The Lying-in Room

    

하녀의 도움으로 4개의 포스트가 있는 침대에 어머니가 누워 있는 침실




7. The Landing






Zelfportret in blauwe schilderskiel/Self portrait wearing blue painter's smock

푸른 작업복을 입은 자화상


by Jacobus van Looy(반 로이: Haarlem 1855-1930)

1896, oil on canvas





Meisje in rood jakje/Girl wearing red jacket

붉은 자켓을 입은 소녀


by Jacobus van Looy(반 로이: Haarlem 1855-1930)

1910, oil on canvas





Een Haarlems meisje/Girl from Haarlem

할렘출신 소녀


by Jacobus van Looy(반 로이: Haarlem 1855-1930)

1911, oil on canvas





Elsje, een ziekelijk weesmeisje/Elsje, a sickly orphan girl

병약한 고아 소녀, 엘제


by Jacobus van Looy(반 로이: Haarlem 1855-1930)

1887, oil on canvas





Portret van een jongen met pet/Portrait of a boy wearing a cap

모자를 쓴 소년의 초상화


by Jacobus van Looy(반 로이: Haarlem 1855-1930)

c. 1920, oil on panel





Piet/Piet/피트


by Jacobus van Looy(반 로이: Haarlem 1855-1930)

1921, oil on panel





Aaltje met geit/Aaltje with goat

염소와 알테


by Jacobus van Looy(반 로이: Haarlem 1855-1930)

1897, oil on canvas










Zelfportret met familieleden/Self Portrait with family

가족과 함께 한 화가의 자화상


by Jan Miense Molenaer(몰레내어: Haarlem 1609/10 - Haarlem 1668)

c. 1634-36, oil on panel


Jan Miense Molenaer portrays himself with his brothers and sisters in a genre tableau.

One year later, in 1636, Miense Molenaer married Judith Leyster.  Therefore, she is missing

in this painting.  Two half-brothers stand behind the harpsichord, children from his

father's previous marriage.  The family portrait is full of symbolism.

The depiction of music being made collectively expresses the harmony 

within the Molenaer family.  The bubble-blowing relates to mortality.


몰레내어는 자신을 포함해서 그의 형제 자매들을 모델로 가족 자화상을 그렸다. 이 그림이 완성된지 

1년 후에 그는 여류화가인 유디트 라이스터와 혼인을 해서 이 작품 속에 등장하지 않는다.

합시코드 뒤의 두 남자는 몰레내어의 이복 형제이며, 작품 속 주제인 음악은

몰레내어 가문내의 하모니를 상징하며, 비누방울불기는 인간의 죽음을 암시한다.




Zelfportret met familieleden/Self Portrait with family

가족과 함께 한 화가의 자화상





Portret van een onbekende vrouw/Portrait of an unknown woman

한 여인의 초상화


by Judith Leyster(라이스터: Haarlem 1609-Heemstede 1660)

1635, oil on panel


This portrait of a woman with a 'millstone collar' was long thought to have been by

Frans Hals.  Judith Leyster's monogram, JL* was simply overlooked.  Leyster was 

the first woman to become a member of Haarlem's Saint Lucas guild of painters.

Whether Leyster studied under Frans Hals is not certain.  While she did build on 

innovations that Hals had introduced into painting, she did so in her own way.


하얀 밀스톤 컬러를 두른 이 여인의 초상화는 오랫동안 프란스 할스 작품이라고 여겨져 왔다.

하지만 작품 속에 유디트 라이스트의 모노그램 JL 이 새겨져 있어서 라이스터의 작품으로 판명되었다.

그녀는 당시로는 드물게 할렘의 성 루카 화가협회의 첫 여성 회원이었다.









Dirck/Frans

In your Brother's Shadow


It is a phenomenon of all ages: being overshadowed by a more famous or more talented

relation.  Dirck Hals was Frans Hals' younger brother.  He specialized in 'merry companies':

parties held by wealthy citizens clad in costly, brightly-colored clothing.

Whereas Dirck made his name with these affluent young clients, his older brother

Frans focused on the lower end of society.  He painted portraits of the elite

as well as laughing fishermen's children and drunken pub-goers. 

 Perhaps Dirck looked up to his brother as an example: we know of a number

of works by Dirck that feature Frans Hal's subjects and figures.


During his lifetime, Dirck Hals' merry companies attracted a lot of customers.

He could also produce many works quickly, because he painted different versions of

the same scene and re-used figures.  Although much of this work is of high quality,

due to his focus on one particular genre, Dirck is known these days as a 'one trick pony'.


자신보다 재능이 많거나 더 유명한 형제때문에 자신의 빛을 제대로 발휘하기 힘든 상황은 늘 존재해 왔다:

  프란스 할스의 동생인 더크 할스도 그런 상황에 놓인 인물로 상류층의 의뢰로

비싼 옷을 제대로 차려 입은 귀족들의 즐거운 향연을 주제로 한 그림을 주로 그린 반면에,

그의 형 프란스는 사회의 하류층을 그린 것과 대조를 보인다.


하지만, 더크는 상류층 외에도 어부들의 자녀와 술취한 취객들을 다룬 그림도 그렸는데,

아마도 존경하는 형을 닮고 싶은 마음에서 그린 것으로 보인다.

더크는 화가로서 그의 생전에 많은 부유층 고객들의 주문으로 

단시간내에 다수의 작품을 제작했다.  그의 작품 수준은 높았지만, 

한 장르에 국한되어서 현대에 와서는 그를 '한가지 재주를 가진 화가'라고 평하고 있다.









Musicerend gazelschap op terras/Garden Party

정원 파티


by Dirck Hals(더크 할스: Haarlem 1591 - Haarlem 1656)

c. 1620, oil on panel


In this painting, the two themes of love and music are being linked together.

To the right on the steps is a company of musicians.  Playing music as part of an ensemble

is something that requires moderation.  on the left a woman is being courted.

The two dogs, the fountain and the castle are symbols of earthly love.

The painting contains a message:on the left a warning against excessive frivolity

and on the right an appeal to moderation.


이 작품의 주제인 사랑과 음악의 밀접한 관계가 표현된 작품의 오른편에는

음악인들이 연주하는 앙상블은 중도를 상징한다.

한편 왼쪽에는 한 여인이 남성으로부터 구애를 받는 모습이 보이고,

그 앞에 개 두 마리, 분수와 성은 육체적인 사랑을 상징한다.

그래서 이 작품은 왼편에 묘사된 경박한 사랑에 대한 경고와

오른편에 보여 준 중도를 권장하는 진정한 사랑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Buitenpartij/Garden party

정원 파티


by Dirck Hals (더크 할스: Haarlem 1591 - Haarlem 1656)

c. 1632, oil on panel


A group of people at a garden party.  In the background a landscape.  Dirck Hals,

brother of Frans Hals, often used this theme.  The subjects and the setting varied,

but the message remained the same: a warning against lightheartedness 

and an encouragement of modesty.


프란스 할스의 동생인 더크 할스는 그의 작품에서 경솔함을 대신에

중도를 권장하는 주제를 자주 다루고 있다.





Elegant gezelschap in een interieur/Party in Interior 

실내 파티


by Dirck Hals (더크 할스: Haarlem 1591 - Haarlem 1656)

  with Van Delen

1628, oil on panel


Two artists created one painting.  Van Delen painted the interior with classical pillars and arches.

  Dirck Hals did the staffage: the company is very elegantly dressed, eating, drinking and flirting. 

 The two artists only collaborated on a handful of paintings, probably in Haarlem. 

 This painting warns against profligacy and lightheartedness.


Left, two men are playing backgammon, a popular game in the 17th century.

The essential ingredient of the game was the element of chance. It was also known

as the game of turns - anything can happen.


이 작품은 더크 할스가 등장 인물과 동물들을 그리고, 배경은 반 델렌이 그렸다.

이 작품 역시 부도덕하거나 경솔한 행동과 낭비를 경고하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왼편에는 두 남성들이 17세기에 인기있던 백개먼 게임을 하고 있다.





Elegant gezelschap in een interieur/Party in Interior 

실내 파티


by Dirck Hals (더크 할스: Haarlem 1591 - Haarlem 1656)

1628, oil o panel





Portret van een man, mogelijk Gerrit Jansz van Santen/

Portrait of a man, probably Gerrit Jansz van Santen/

게리트 얀츠 반 산텐의 초상화


by Frans Hals(프란스 할스: Antwerpen c. 1582 - Haarlem 1666)

1640, oil on canvas


The portrait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as Gerrit Jansz van Santen.

The lack of ostentation pointed in the direction of a member of the Mennonites.

The Mennonites were at first heavily persecuted and sentenced to death,

but in 17th century Haarlem they were tolerated, as Catholics and other

minorities were as well.  They could not fulfill public tasks.  

Van Santen was distiller and servant of the Mennonites.


근래에 와서야 이 작품 속의 주인공이 게리트 얀츠 반 산텐이라고 밝혀졌다.

제일 큰 이유는 반 산텐은 메노나이츠 신자였기 때문이었다.

17세기 당시 네덜란드에서는 새로운 교파인 메노나이츠 교인들을

이단이라는 이유로 핍박하거나, 심지어 사형에 처해진 상황이지만,  

 진보적인 할렘에서는 메노나이츠들을 캐톨릭교처럼

다른 소수의 크리스찬 교파로 인정해서 공직에 종사할 수 없는 것 외에는

그들을 시민으로 누릴 수 있는 모든 것을 허락해 주었다.





Portret van Jacobus Zaffuis/Portrait of Jacobus Zaffius

야코부스 자피우스의 초상화

by Frans Hals(프란스 할스: Antwerpen c. 1582 - Haarlem 1666)

1611, oil on panel


One of the earliest portraits by Frans Hals, the first that is dated: Jacobus Zaffius, 1611.

As provost and archdeacon, Zaffius was the highest official of the Catholic church 

in Haarlem.  Zaffius is depicted half-length in an engraving made after this portrait, 

so it was long thought that the painting was originally larger.  

This is not the case, however: the panel has never been cut down.


프란스 할스의 초상화 작품들 중에서 가장 첫 작품인 이 야코부스 자피우스 초상화 작품은

1611년에 그려졌다.  자피우스씨는 할렘 캐톨릭교단의 가장 높은 직책인 대부제였다.


1,600년대의 할렘은 캐톨릭 국가인 스페인의 지배에서 막 독립한 개신교 도시로

캐톨릭과 관계된 사람들은 무조건 반역으로 몰리는 상황에 처해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도 자피우스 대부제는 그에 굴하지 않고 한 술 더 떠서,

그와 캐톨릭 신자들을 핍박하는 사람들에게 그의 강한 눈빛과 당당한 행동으로 처신한 덕분에

할렘의 지도자들과 시민들은 그의 직언과 행동을 눈감아 주고 감당해 냈다.







to b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