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Welcome to Wildrose Country
Travel Log/미국

[LA 여행17]게티 박물관 11편/18세기 유럽 화가들의 작품 감상

by Helen of Troy 2024. 9. 21.

 

  EUROPEAN PATININGS/유럽 화가들의 그림  

 1700-1800/S20 

유럽 출신 화가들의 그림이 걸린 게티 전시방 S201

(2021년 11월 23일)

 

 

Bust of a Man/남성의 흉상

1758, Black stone on a yellow Siena marble socle

 

Francis Harwood/프랜시스 하우드

English, active in Italy, 1748-1783

 

하우드는 주인공의 피부를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서

일부러 검은 암석을 작품 소재로 했다.

고대 그리스나 로마시대에 귀족들의 모습을 제작된 흉상처럼

이 작품도 남성의 가슴 아래를 완만한 곡선으로 마무리해서

주인공을 중요하고 높은 신분의 남성이라는 것을 암시해 준다.

 

작품의 인물의 신분은 알려진 바 없지만

얼굴에 남겨진 흉터로 미루어서

특정한 인물임을 알 수 있으며,

유럽 출신 조각가가나 아티스트들이 

최초로 흑인을 주인공으로 제작한 작품 중 하나이다.

 

 

 

 

Dance before a Fountain/ 분수 앞에서 열린 댄스파티

1724, oil on canvas

 

Nicolas Lancret/니콜라 롱크레

French, 1690-1743

 

이 작품은 잘 차려입은 귀족들이 모여서

상상력을 동원해서 만들어진 야외 세트 배경으로

춤도 초고 남녀 간의 연애를 하기 위해서 열린

페트갈랑트/fête galante 장르로 그림을 그렸다.

이런 장르는 랑크레의 스승이자 멘토인

쟝-안토안 와토/Watteau가 시작했는데,

랑크레는 교양 있고 우아한 인물들을

그들의 시선, 포즈와 제스처로 인간 화환 구도로 그려서

마치 음악의 유연한 흐름, 배경 풍광과

건축의 리듬감을 구사하고 있다.

 

 

 

 

Portrait of James Christie/제임스 크리스티의 초상화

1778, Oil on canvas

 

Thomas Gainsborough/토마스 게인스버러

English, 1727-1788

 

작품 속의 키도 크고 매력과 호소력 있는 웅변가인

제임스 크리스티(1730-1803)는

현재에도 잘 알려진

크리스티 경매회사를 창립한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화가의 이웃이자 친한 친구로 

게인스버러는 크리스티를

자신의 집 배경으로 격조 있는 인물로 그렸다.

 

Portrait of James Christie/제임스 크리스티의 초상화

1778, Oil on canvas

 

Thomas Gainsborough/토마스 게인스버러

English, 1727-1788

 

 

 

 

Portrait of a Boy in Fancy Dress/화려한 드레스를 입은 소년의 초상화

1710-14, oil on canvas

 

Nicolas de Largillière/니콜라 드 라질리에르

French, 1656-1746

 

Portrait of a Boy in Fancy Dress/화려한 드레스를 입은 소년의 초상화

1710-14, oil on canvas

 

Nicolas de Largillière/니콜라 드 라질리에르

French, 1656-1746

 

이 작품 속의 소년은 프랑스 왕족이지만,

작품의 구도나 자유로운 붓 터치와 따스한 톤을 띤 이 그림은

라질리에르가 반 다이크(1599-1641)가 시작한

플랑드르 바로크 스타일의 영향을 다분히 받았다.

그리고 그는 로코코 스타일 초기에 큰 영향을 주기도 했다.

 

 

 

 

Portrait of Magdaleine Pinceloup de la Grange

마달렌 팡세루 들라 그란지 초상화

1747, oil on canvas

 

Jean-Baptiste Perronneau/쟝-바티스터 페론노

French, 1715-1783

 

페론노는 유화를 파스텔 질감과 톤으로 이 작품을 그렸다.

오일을 너무 두텁게 칠하면 파스텔화가 주는 질감이 사라지는데,

그는 오일물감을 조금씩 사용해서 먼저 칠한 물감이 마르기 전에

그 위에 덧칠해서 이런 톤을 구축했다.

 

 

 

 

Portrait of Marc de Villiers, Secrétaire du Roi

마크 드 빌리에의 초상화,

1747, oil on canvas

 

Jacques-André-Joseph Aved/쟉-안드레-조셒 아벳

French, 1702-1766

 

초상화의 주인공 드 빌리에(1671-1762)씨는

루이 15세의 비서관으로

책상에 놓인 공문서가 그의 지위를 보여준다.

이 작품은 공식적인 초상화와 달리 

편한 의상을 입고 그의 서재에서

호머의 '일리아드'를 읽는 모습으로 그려서

그가 덕망 있는 학자라는 것도 표현하고 있다.

 

 

 

 

Portrait of Anne, Countess of Chesterfield

체스터필드 백작부인 앤의 초상화

1777-78, oil on canvas

 

Thomas Gainsborough/토마스 게인스버러

English, 1727-1788

 

 

 

 

John, Fourteenth Lord Willoughby de Broke and His Family

in the Breakfast Room at Compton Verney

컴튼 버니에 소재한 그의 저택 브랙포스트 방의

14대 윌로비 드 브로크 경 존과 그의 가족

c. 1766, oil on canvas

 

Johann Zoffany/요한 초파니

German, 1733-1810; active in England from 1760

 

John, Fourteenth Lord Willoughby de Broke and His Family

in the Breakfast Room at Compton Verney

컴튼 버니에 소재한 그의 저택 브랙포스트 방의

14대 윌로비 드 브로크 경 존과 그의 가족

c. 1766, oil on canvas

 

Johann Zoffany/요한 초파니

German, 1733-1810; active in England from 1760

 

초파니는 화사한 색상의 배경으로

편한 자세의 인물을 묘사한 "대화 작품" 장르를 완성시킨 화가로

주로 18세기 영국 상류층을 그렸다.

이 작품은 윌로우비 경이 그의 가족과 함께

차를 마시는 모습을 묘사했다.

 

 

 

 

 

 

Busts of Two Sisters: Brigitte Françoise Elisabeth de Lansire

and Adélaïde Julie Mirleau de Neuville

브리지트 프랑소와저 엘리자베트 드 랑시에(언니, 위) &

아델라이드 쥴리 밀로 드 너빌(동생, 아래)

1750s, Marble

 

Jean-Baptiste Pigalle/쟝-바티스터 피갈

French, 1714-1785

 

브리지트 프랑소와즈 엘리자베트 드 랑시레
 Brigitte Françoise Elisabeth de Lansire

 

 

 

 

Still Life with Peaches, a Silver Goblet, Grapes, and Walnuts

복숭아, 은 컵, 포도와 호두가 있는 정물화

c. 1759-60, oil on canvas

 

Jean-Siméon Chardin/쟝-시메옹 샤르당

French, 1699-1779

 

Still Life with Peaches, a Silver Goblet, Grapes, and Walnuts

복숭아, 은 컵, 포도와 호두가 있는 정물화

c. 1759-60, oil on canvas

 

Jean-Siméon Chardin/쟝-시메옹 샤르댕

French, 1699-1779

 

정물화 장르는 전통적으로 초상화나 성화보다 낮게 평가되었는데

18세기부터 정물화를 그리는 화가들이

부를 상징하는 럭셔리 소품들과 시간의 흐름을 상징하는 알레고리를

묘사해서 정물화의 위상을 끌어올리게 되었다.

샤르댕은 이 작품에서, 과일, 생선, 빵, 치즈, 견과류

부엌용품 등 일상적인 아이템을 아주 자연스럽게 묘사했다.

 

 

 

 

Still Life with Fish, Vegetables, Gougères, Pots, and Cruets on a Table

테이블에 물고기, 야채, 구제러, 냄비와 크루이트가 놓인 정물화

1769, oil on canvas

 

Jean-Siméon Chardin/쟝-시메옹 샤르당

French, 1699-1779

 

 

 

 

Before the Ball/댄스파티가 시작하기 전

1735, oil on canvas

 

Jean-François de Troy/쟝-프랑소와 드 트로와

French, 1679-1752

 

작품 속의 인물들은 도미노라고 불리는 풍성한 폭의 드레스를 입고

가면을 쓰고 신분을 가리고 참석하는 가면 댄스파티가

시작하기 전의 설렘과 기대감으로 들떠 있다.

이런 장르의 그림은 상류층의 생활과 패션뿐 아니라

인테리어와 가구 그리고 값비싼 소품들을 묘사하는 작품이다.

 

Before the Ball/가면 댄스파티가 시작하기 전

1735, oil on canvas

 

Jean-François de Troy/쟝-프랑소와 드 트로와

French, 1679-1752

 

 

 

 

 

The Laundress/빨래하는 여인

1761, oil on canvas

 

Jean-Baptiste Greuze/쟝-바티스터 그류즈

French, 1725-1805

 

작품 속의 여인은 비현실적으로

그녀의 가장 좋은 옷을 입고 빨간 구두를 신고, 

빨래를 하면서, 관객들에게 유혹의 눈길을 던지고 있다.

이 작품은 1761년에 파리 살롱전에 출품한 작품으로

큰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미술 평론가 디데로는 "이 여인은 매력적이지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소지가 다분해서

전혀 믿을 수 없는 캐릭터."라고 평했다.

 

The Laundress/빨래하는 여인

1761, oil on canvas

 

Jean-Baptiste Greuze/쟝-바티스터 그류즈

French, 1725-1805

 

 

 

 

Mars and Venus, an Allegory of Peace

평화의 알레고리, 마르스와 비너스

1770, oil on canvas

 

Louis-Jean-François Lagrenée/루이-쟝-프랑소와 라그레네

French, 1725-1805

 

라그레네는 로마 신화 속의 로맨스를 로코코 스타일로 이 작품을 그렸으며,

전투적인 전쟁의 신 마르스가 평소와 달리 커튼을 올리고

사랑에 찬 눈빛으로 자고 있는 비너스 여신을 내려다보고 있다.

그림 앞 쪽의 두 마리 비둘기는 마르스가 벗어둔 갑옷에

둥지를 만들고 있는데, 이는 행복한 두 연인을 상징해 준다.

 

 

 

 

The Italian Comedians/이탈리아 코미디언들

c. 1720, oil on canvas

 

Jean-Antoine Watteau/쟝-안토완 와토

French, 1684-1721

 

작품 속의 다섯 코미디언들은 파리 외곽에 있는 

푸르른 공원에서 막 공연을 마치고, 청중들의 반응을 기다리고 있다.

하얀 옷을 입은 광대 피에로는 이미 손에 모자를 내밀고

그에게 던져질 동전을 받으려고 한다.

그 옆에 있는 나머지 배우들은 18세기 파리에서 

인기를 끌던 '이탈리아 코메디아 델라르테' 장르의

희극 작품을 위한 의상을 입고 있다.

왼편의 배우는 브리겔라 역을 맡았고,

오른편의 메쩨틴은 기타 연주를 하고,

그의 어깨 바로 뒤에는 검은 마스크를 쓴 할러퀸이 서 있고,

제일 오른쪽의 스카라무쉬는 검은 벨벳과 흰 레이스가 달린

복장을 하고 있다.

이들은 무대의 가상적 인물이지만,

아주 인간적으로 묘사한 것이 인상적이다.

 

 

 

Diana and Her Nymphs Bathing/목욕하는 다이애나와 님프들

1722-24, oi l on canvas

 

Jean-François de Troy/쟝-프랑소와 드 트로와

French, 1679-1752

 

사냥의 여신 다이아나는

맑은 물이 흐르는 시냇물에서 막 목욕을 마치고,

세 님프들이 그녀의 몸의 물기를 닦아주고,

그녀의 머리는 핑크 리본으로 묶어주고,

그녀의 가운을 매만져 주고 있다.

왼편의 님프는 다이아나의 나신을

음탕한 강의 신의 시선을 가로막으려고 하고 있다.

이 장면은 고대 로마시대에 시인으로 활동했던

오비드(오비디우스: 43 BC - 17-18 AD)의 작품

'Metamorphoses/변신 이야기'를

토대로 하고 있다.

 

 

 

 

The Fountain of Love/사랑의 분수

c. 1785, oil on canvas

 

Jean-Honoré Fragonard/쟝-오노레 프라고나르

French, 1732-1806

 

고대 문학에서 분수는

무르익는 사랑의 알레고리의 초점으로 등장한다.

한 커플이 이 마법의 분수로 급하게 달려가서

물을 마신 후, 서로 사랑에 빠진다.

프라고나르는 절제된 네오클래식 화풍으로 

달빛이 비치는 몽환적인 모습으로 제작했다.

 

The Fountain of Love/사랑의 분수

c. 1785, oil on canvas

 

Jean-Honoré Fragonard/쟝-오노레 프라고나르

French, 1732-1806

 

 

 

 

Pan and Syrinx/팬 & 시링스

1722-24, oil on canvas

 

Jean-François de Troy/쟝-프랑소와 드 트로와

French, 1679-1752

 

로마 제국 시대의 시인 오비드가 쓴 'Metamorphoses/변신 이야기'에서

나오는 이야기로, 탐욕스러운 목신 판/Pan이 

시링스에게 반해서 라돈 강둑까지 그녀를 쫓아갔다.

그러자 그녀는 님프 자매들을 불러 도움을 요청했더니

그녀를 갈대로 변신시켜 주어서

그녀를 붙잡으려고 했던 판의 손에는 갈대뭉치만 잡혔다.

판은 갈대가 바람에 흔들리면서 내는 소리에 매혹되었으며,

이 소리는 시링스의 급한 울부짐처럼 여겨졌다.

그녀를 그리워하던 판은 최초로 갈대를 소재로

팬 파이프 악기를 만들었다.

 

 

 

 

 

 

The Grand Canal in Venice with Palazzo Bembo

베니스의 그랜드 카날과 벰보 궁전

c. 1768, oil on canvas

 

Francesco Guardi/프란체스코 과르디

Italian, 1712-1793

 

The Grand Canal in Venice with Palazzo Bembo

베니스의 그랜드 카날과 벰보 궁전

c. 1768, oil on canvas

 

Francesco Guardi/프란체스코 과르디

Italian, 1712-1793

 

 

 

 

Still Life with Hen and Onion/암탉과 양파가 있는 정물화

c. 1750-6-, oil on paper, laid down on canvas

 

Giacomo Ceruti/쟈코모 체루티

Italian, Milan 1698-Milan 1767

 

체루티는 어두운 배경으로 식료품 저장고에 있는 음식을 

정교하게 묘사하고 있다.

저장고에 스며든 밝은 빛은 마른 양파 껍질과

부드러운 닭의 털을 잘 보여준다.

그림 속의 닭 품종은 리보네제 닭으로

이탈리아에서 달걀을 많이 낳는 품종으로

지금도 각광받고 있다.

중간 지점에 그려진 죽은 닭의 뻣뻣해진 다리,

움직이지 않은 날개와 열린 부리는

죽은 생물에 대한 존경심을 관객들에게 보여준다.

 

 

 

 

Still Life with Bread, Salami, and Nuts

빵, 살라미와 호두 정물화

c. 1750-60, oil on paper, laid down on canvas

 

Giacomo Ceruti/쟈코모 체루티

Italian, Milan 1698-Milan 1767

 

체루티는 평범한 목조 테이블에 놓인 일상적인 물건들을

세심하게 그렸다.

그는 살라미, 거친 빵, 울퉁불퉁한 겉면의 호두, 

윤택이 나는 퓨터 쟁반 등

각 물건의 독특한 질감을 잘 묘사한 작품이다.

 

 

 

 

The Grand Canal in Venice

from Palazzo Flangini to Campo San Marcuola

플랑지니 궁전부터 산 마르쿠올라 캄포 사이의 

베니스 그랜드 카날

c. 1738, oil on canvas

 

Canaletto(Giovanni Antonio Canal)/카날렛또

Italian, 1657-1768

 

 

 

 

The Exaltation of the Cross/십자가 현양 축일(9월 14일)
about 1680


Juan de Valdés Leal/후안 데 발데스 레알

(Spanish, 1622 - 1690)

 

작품 속 비잔틴의 헤라클리우스 황제는 

여러 군중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무릎을 꿇고

성 십자가를 위로 올리려고 하고 있다.

그는 예루살렘의 대문을 겸손하게 통과하기 위해서

화려한 황제 옷 대신에 남루한 옷을 입고 있다.

그 옆에 서 있는 이는 콘스탄티노플의

자카리아 대주교이다.

 

628년에 페르시아로부터 예수가 매달려 죽음을 맞이한

'true cross'로부터 탈환한 헤라클리우스 황제는

예루살렘 성 안으로 자랑스럽게 들어가려고 하자

성벽의 돌이 떨어져 성문이 가로막히게 되었다.

그때 천사가 나타나서 예수님의 겸손하게 

나귀 등을 타고 성 안으로 들어온 것처럼

그가 입은 값비싼 옷을 버리고 겸손한 차림으로 

입성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 스토리는 천국은 부를 멀리하는 자들에게 열려있다는

심플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데

이런 주제는 르네상스 시대에 벽화 작품에 자주 등장했다.

 

The Exaltation of the Cross/십자가 현양 축일(9월 14일)
about 1680


Juan de Valdés Leal/후안 데 발데스 레알

(Spanish, 1622 - 1690)

 

 

 

 

 

Alexander the Great and Campaspe in the Studio of Appelles

아펠레스의 스튜디오 내의 알렉산더 대왕과 캄파스페

about 1740, oil on canvas

 

Giambattista Tiepolo/쟘바티스타 티에폴로

(Italian, 1696 - 1770)

 

작품 속의 젊은 화가는 알렉산더 대왕 황실 화가인 아펠레스로

고대 시대에 가장 훌륭한 화가로 알려졌다.

역사학자 플라이니가 쓴 "자연의 역사"에 의하면

알렉산더는 아펠레스에게

그가 가장 사랑하는 첩 캄파스페의 초상화를 의뢰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녀의 아름다움을 캔버스에 담던 아펠레스가

캄파스페와 사랑에 빠져들게 되었다.

알렉산더는 화가와 작품에 감탄한 나머지

캄파스테를 아펠레스에게 보내주었다.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의 화가들이

그림의 힘과 고귀함을 보여주기 위해서

알렉산더와 아펠레스의 이야기를 자주 다루었는데,

이 작품은 티에폴로가 같은 주제로 그린 몇몇 작품 중

세 번째 그림이다.

 

핸섬하고 자신만만한 알렉산더 대왕은

아팔레스와 캄파스테가 은밀한 눈길을 주고받는 것을 모른 채

화려한 궁전 바깥을 내다보고 있다.

 

Alexander the Great and Campaspe in the Studio of Appelles

아펠레스의 스튜디오 내의 알렉산더 대왕과 캄파스페

about 1740, oil on canvas

 

Giambattista Tiepolo/쟘바티스타 티에폴로

(Italian, 1696 - 1770)

 

 

 

 

The Blessed Bernardo Tolomei Visiting Victims of the Plague

흑사병 환자를 방문한 베르나르도 톨로메이 복자

c.1735, oil on paper

 

Giuseppe Maria Crespi/쥬제페 마리아 크레스피

Italian, 1665-1747

 

1348년 시에나에서 한창 흑사병이 유행할 때에

베르나르도 톨로메이(1272-1348) 복자가 위험을 무릅쓰고

흑사병 환자들을 돌보다가 자신도 감염이 되어서 병사했다.

작품 속의 베르나르도 복자는 한 신부와 복사들이 가져온

죽음에 임박한 이들에게 주는 Viaticum/노자성체를 기다리다가

그 앞에 쓰러져 죽은 한 여인에게 축복을 내려주고 있다.

죽은 여인의 아기는 여전히 엄마를 붙잡고 있고,

위에는 그녀 영혼을 거두어 갈 천사가 맴돌고 있다.

 

The Blessed Bernardo Tolomei Visiting Victims of the Plague

흑사병 환자를 방문한 베르나르도 톨로메이 복자

c.1735, oil on paper

 

Giuseppe Maria Crespi/쥬제페 마리아 크레스피

Italian, 1665-1747

 

 

 

 

 

 

 

View of the Grand Canal:

Santa Maria della Salute and the Dogana

from Campo Santa Maria Zobenigo

산타 마리아 조베니고 캄포에서 본

그랜드 카날의 살루테 산타 마리아 성당(오른편 돔 지붕)과

도지의 궁전(왼편)

c. 1743, oil on canvas

 

Bernardo Bellotto/베르나르도 벨롯또

Italian, 1722-1780

 

View of the Grand Canal:

Santa Maria della Salute and the Dogana

from Campo Santa Maria Zobenigo

산타 마리아 조베니고 캄포에서 본

그랜드 카날의 살루테 산타 마리아 성당과 도가나

c. 1743, oil on canvas

 

Bernardo Bellotto/베르나르도 벨롯또

Italian, 1722-1780

 

View of the Grand Canal:

Santa Maria della Salute and the Dogana

from Campo Santa Maria Zobenigo

산타 마리아 조베니고 캄포에서 본

그랜드 카날의 살루테 산타 마리아 성당과 도가나

c. 1743, oil on canvas

 

Bernardo Bellotto/베르나르도 벨롯또

Italian, 1722-1780

 

 

 

 

The Bucintoro Departing from the Bacino di San Marco

 산 마르코 유역을 떠나는 '부친토로' 배

1710, oil on canvas

 

Luca Carlevarijs/루카 카를레바리스

Italian, 1663-1730

 

매년 예수 승천 대축일이 되면,

베니스는  아드리아해와 상징적인 혼인 예식이 행해졌다.

이는 베니스 공화국이 영원토록 바다를 지배하고자 염원이 담겼다.

이 작품은 베니스의 최고 권력자인 도지/Doge가

예수 승천 대축일 날에

베니스 공화국의 공식 선박 '부친토로', 배에서

결혼반지를 바다(수로)에 던지는 전통적인 행사를 그리고 있다.

 

The Bucintoro Departing from the Bacino di San Marco

 산 마르코를 떠나는 '부친토로' 배

1710, oil on canvas

 

Luca Carlevarijs/루카 카를레바리스

Italian, 1663-1730

 

 

 

 

A Regatta on the Grand Canal 

in Honor of Frederick IV, King of Denmark

덴마크 프레데릭 4 세왕에게 헌정된

그랜드 카날에서 벌어진 보트 경기

1711, oilon canvas

 

Luca Carlevarijs/루카 카를바리스

Italian, 1663-1730

 

A Regatta on the Grand Canal 

in Honor of Frederick IV, King of Denmark

덴마크 프레데릭 4 세왕에게 헌정된

그랜드 카날에서 벌어진 보트 경기

1711, oilon canvas

 

Luca Carlevarijs/루카 카를바리스

Italian, 1663-1730

 

덴마크의 프레데릭 4세 왕(1671-1730)이

1708년 겨울에 에 베니스를 공식방문했다.

그가 베니스를 떠나기 전날 밤에

그를 배웅하는  예식으로 화려한 보트 경주가

그랜드 카날에서 열렸다.

 

붉은색과 황금색 복장을 한 시민들이 

붉은 의상을 입은 덴마크 왕이 탄 배를 저어서

포스카리 궁전 앞에서 기다리고 있던

주최자 쪽(왼쪽)으로 향하고 있다.

 

A Regatta on the Grand Canal 

in Honor of Frederick IV, King of Denmark

덴마크 프레데릭 4 세왕에게 헌정된

그랜드 카날에서 벌어진 보트 경기

1711, oilon canvas

 

Luca Carlevarijs/루카 카를바리스

Italian, 1663-1730

 

 

 

 

Portrait of John Talbot, 

Later First Earl Talbot/탈버트 백작의 초상화

1773, oil on canvas

 

Pompeo Batoni/폼페오 바토니

Italian, 1708-1787

 

18세기 후반에 부유한 영국 여행자들이 로마를 방문하는 중에

국제적으로 초상화 화가로 널리 알려진 바토니가 그린

초상화를 의뢰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은 로마제국 시대의 유명한 유물인

루도비지 마르스와 메디치 화병 가운데에 서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The Sacrifice of Polyxena/제물로 바쳐진 폴릭세나

c. 1733-34, oil on canvas

 

Giovanni Battista Pittoni/죠반니 바티스타 피토니

Italian, 1687-1767

 

The Sacrifice of Polyxena/제물로 바쳐진 폴릭세나

c. 1733-34, oil on canvas

 

Giovanni Battista Pittoni/죠반니 바티스타 피토니

Italian, 1687-1767

 

 

 

 

게티 박물관의 널찍한 내부 모습

 

 

 

 

 

 

 

 

 

Classical Landscape with Figures and Sculpture

인물과 조각상이 있는 고전적인 풍경화

1788, oil on panel

 

Pierre-Henri de Valenciennes/피에르-앙리 드 발렌시엥

French, 1750-1819

 

 

 

 

Portrait of the Marqesa de Santiago/산티아고 후작 부인의 초상화

1804, oil on canvas

 

Francisco Jose de Goya y Lucientes/프란시스코 호제 데 고야 y 루시엔테스

Spanish, Fuentetodos 1746-Bordeaux 1828

 

1800년 초반부터 고야는

스페인 왕족, 귀족 그리고 지성인들의

초상화 화가로 널리 알려졌다.

이 초상화는 독립적이고 유머 감각이 풍부한

부유한 귀족 부인을 과감하게 그렸다.

그녀는 한 팔은 그녀의 히프에, 또 다른 손은 부채를 들고

관객들에게 당당한 모습으로 마주하고 있다.

그녀가 쓴 길고 하얀 만티야(베일), 금실로 꼬아서 만든 소배,

레이스가 ㄹ달린 검은 치마와 산호색의 신발은

당시의 귀족들 사이에 유행하던 패션인데

화가는 그녀를 그녀의 패션보다 그녀의 정직하고

자유분방한 면을 그리고자 했다.

Portrait of the Marqesa de Santiago/산티아고 후작 부인의 초상화

1804, oil on canvas

 

Francisco Jose de Goya y Lucientes/프란시스코 호제 데 고야 y 루시엔테스

Spanish, Fuentetodos 1746-Bordeaux 1828

 

 

 

 

Portrait of the Sisters Zénaide and Charlotte Bonaparte

제나이드와 샬로터 보나파르테 자매의 초상화

1821, oil on canvas

 

Jacquess-Louis David/쟈케-루이 다비드

French, 174801825

 

그림 속의 주인공들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테의 두 조카딸이며,

다빗은 자매의 다정함을 묘사할 뿐 아니라 그들의 상반된 성격까지 묘사했다.

언니인 제나이드는 관객들에게 진솔한 시선으로 바로 쳐다보면서

내향적인 동생 샬로터를 보호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 자매는 보나파르트 가문의 상징인

황금벌 수로 꾸며진 소파에 앉아서

당시 미국으로 망명 간 아버지 조셉이 보낸 편지를 읽고 있다.

 

Portrait of the Sisters Zénaide and Charlotte Bonaparte

제나이드와 샬로터 보나파르테 자매의 초상화

1821, oil on canvas

 

Jacquess-Louis David/쟈케-루이 다비드

French, 174801825

 

 

.

Herm of a Vestal Virgin/순결한 처녀의 흉상

1821-22, Marble

 

Antonio Canova/안토니오 카노바

Italian, 1757-1822

 

순결한 처녀 작품은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화덕의 여신인 베스타에게 헌정되어서

그녀의 순결과 정조를 본받으려 했다.

이 작품은 순결함의 완성을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해서

1800년대에 수집가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Portrait of Suzanne Le Peletier de Saint-Fargeau

수잔느 러 펠레티에 드 생-파조의 초상화

1804, oil on canvas

 

Jacques-Louis David/쟈케-루이 다비드

French, 1748-1825

 

레 펠레티에는 프랑스혁명 중에 순교해서 성인으로 추대된 이의 딸로

그녀의 둘째 남편과 약혼을 앞두고 이 그림이 그려졌다.

 

Portrait of Suzanne Le Peletier de Saint-Fargeau

수잔느 러 펠레티에 드 생-파조의 초상화

1804, oil on canvas

 

Jacques-Louis David/쟈케-루이 다비드

French, 1748-1825

 

 

 

 

The Farewell of Telemachus and Eucharis

작별인사를 나누는 텔레마쿠스와 유카리스

1818, oil on canvas

 

Jacques-Louis David/자케-루이 다비드

French, 1748-1825

 

이상적인 사랑을 그린 이 작품은 

호머가 쓴 '오디세이'에 등장하는 인물로 구성된

1699년에 프랑스에서 출판된 소설을 토대로 하고 있다.

오디세우스의 아들 텔레마쿠스는 

님프 유카리스와 사랑에 빠지지만

집을 떠난 아버지를 찾아야 하는

아들의 의무를 해내기 위해서

이 둘은 로맨스를 끝내야 했다.

 

이들이 입은 화사한 붉은색과 파란색 의상은

차가운 톤의 피부와 큰 대조를 이루는데,

작품 속에 구현된 확연한 선과 세련된 구도는

 다비드의 후기 작품의 전형적인 특성을 보여준다.

 

 

 

 

Bust of Mary Robinson/메리 로빈슨의 흉상

1824, Marble

 

Pierre-Jean David d'Angers/피에르-쟝 다비드 단제르

French, 1788-1856

 

매리 로빈슨은 미국과 프랑스를 자주 오가는 선박 선장인

헨리 로빈슨의 딸로  다비드 단제르와 교류를 맺게 되면서

이 작품을 의뢰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정사각형의 흉상의 아래 부분과

별 다른 꾸밈없이 심플하며 기하학적,

그리고 극명하게 주인공을 묘사했다.

단제르른 시대를 초월하는 이 흉상의 이미지를

그녀의 코와 입술 그리고 머리카락을

현실적으로 묘사해서 그림자를 극대화했다.

 

 

 

 

Portrait of the Sculpor Philippe-Laurent Roland

조각가 필립-로랑 롤랑의 초상화

1797, oil on canvas

 

François-André Vincent/프랑소와-앙드레 뱅송

French, 1746-1816

 

뱅상은 생전에 화가 자케-루이 다비드와 라이벌 관계였다.

1798년에 파리 살롱전에 출품된 이 작품은

프랑스혁명 후 절제된 삶과 지성적인 모습의

남성 초상화를 대표하고 있다.

 

 

 

 

Demolition of the Château of Meudon/철거된 메동 궁전

1806, oil on canvas

 

Hubert Robert/유베르 로베르

French, 1833-1808

 

프랑스의 중요한 유산 중에 하나인 메동 궁전은

프랑스혁명 중에 군중들에게 약탈되고,

방치된 데다가, 1795년엔 화재까지 발생해서

1803년에 완전히 철거되어 중요한 문화재를 잃게 되었다.

화가는 100여 년에 걸쳐서 파손된 이 궁전을

이 작품에서 한 번에 일어나는 이벤트로 묘사하고 있다.

 

 

 

 

Entrance to the Jardin Turc/자르댕 튜르크(터미 정원 카페)의 입구

1812, oil on canvas

 

Louis-Léopold Boilly/루이-레오폴 보아이

French, 1761-1845

 

이 작품은 파리 중류층 시민들이 

터키 정원이 있던 도로에 위치한 카페를 즐겨 찾던 장소와

나폴레옹 시대의 파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파리의 남녀노소 시민들이 이곳에서 오후를 즐기는 사이

두 명의 거리의 배우들이 대중을 위해 공연을 벌리고 있다.

작품 속 오른쪽 맨 끝에 안경을 쓰고 검은 탑햇을 쓴 이는

바로 보아이 자신이다.

 

 

 

Specimen(after Dürer)/(듀러의 작품에서 감화받은) 표본

2000, inkjet on canvas with UV coating,

mounted on fiberglass composite panel with stainless-steel T-pin

 

John Baldessari/전 발데싸리

American, born 1931

 

 

 

Specimen(after Dürer)/(듀러의 작품에서 감화받은)표본

2000, inkjet on canvas with UV coating,

mounted on fiberglass composite panel with stainless-steel T-pin

 

John Baldessari/전 발데싸리

American, born 1931

 

 

 

게티 박물관 내부의 모습

 

 

 

 

 

 

게티 박물관 외부와 정원

 

 

 

게티 박물관 외부와 정원

 

 

 

게티 박물관 외부와 정원과 막내딸

 

 

 

게티 박물관 입구와 막내딸

 

 

 

그리고 헬렌...

 

 

 

 

 

 

Boy with Frog/개구리와 소년

2009, Painted fiberglass

 

Charles Ray/찰스 레이

American, born 1953

 

 

Boy with Frog/개구리와 소년 & Getty Museum

 

 

 

 

 

 

Air

Designed, 1938; cast 1962, Lead

 

Aristide Maillol/아리스티드 마욜

French, 1861-1944

 

이 누드 조각 작품은 주인공이

마치 공중에 떠 있는 모습을 띄고 있다.

이 작품은 납으로 제작되었지만,

매끄럽고 진한 회색의 겉면은

가벼운 나머지 공중에 떠 있는 인상을 풍겨준다.

 

여인은 오른쪽 엉덩이에 무게를 지탱하면서,

그녀의 팔과 다리는 뻗고 있다.

상상적 무게 중심에 누워있는 여인은

부동과 동작 사이, 

그리고 떠있음과 비행 사이를 오가는 듯하다.

작품의 얼굴은 특정한 인물의 얼굴이기보다는

이상적인 여인의 모습을 그린 이 작품은

공중의 의인화된 조각품이다.

 

1938년에 프랑스 툴루즈 도시는 마욜에게 

항공우편을 수송하다가 순직한 파일럿들에게 헌정하는

기념 동상을 의뢰받아서 이 작품이 제작되었다.

그리고 마욜은 바다, 계절, 공기등

자연을 상징하는데 여인을 모습을 자주 사용했다.

 

 

That Profile/프로파일

1999, Stainless Steel and bronze

 

Martin Puryear/마틴 퓨리어

American, born 1941

 

That Profile

1999, Stainless Steel and bronze

 

Martin Puryear

American, born 1941

 

 

 

 

 

 

이 기차를 타고 다음 목적지인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박물관으로 이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