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MCA 자코메티의 작품 전시방
(2021년 11월 23일)
알베르토 쟈코메티는 생전에 늘 다양한 스타일과 소재를 사용해서
이전에 다른 독창적인 그만의 스타일을 찾기 위해서 노력했다.
1924년에 그는 그의 고향 스위스에서 파리로 이주해서,
당시 파리에서 유행하던 큐비즘과 초현실주적인 풍으로
모델을 고용해서 사실주의적인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그는 길고 가느다란 스타일과
질감이 높게 처리된 얼굴로 제작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독특한 그만의 스타일로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의 초상화 작업을 위해서
그의 부모, 동생 디에고, 아내 아네트
그리고 그의 절친한 친구들이
기꺼이 오랫동안 모델로 서 주었다.
1948년에 프랑스 철학자 쟝-폴 사르트르는
쟈코메티의 홀쭉한 모습의 작품들을
현대 인간의 소외감과 불안감을 표현했다고 평했다.
쟈코메티의 아주 작게 축소한 작품들은
수 세대에 걸쳐서 경험한 전쟁으로 트라우마를 겪은
인간에 대한 존엄성과 인류애를 표현했다.
1. The Cage(first version)/새장
1950, Bronze, cast 8/8
Alberto Giacometi/알베르토 쟈코메티
Switzerland, 1901-1966
종전 후에 제작된 대부분의 쟈코메티 작품들은
참혹한 전쟁을 표현해 주는데,
이 작품 역시 안을 파 낸 빈 공간에
두 인간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같은 공간에 함께 있으면서도
외롭고 소원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The Leg/다리
1958, Bronze cast number 5/6
Alberto Giacometi
Switzerland, 1901-1966
Bust of Diego/디에고의 흉상
1951, Bronze, unique
Alberto Giacometi/쟈코메티
Switzerland, 1901-1966
Large Seated Woman(Annette)/거대한 앉아있는 여인 흉상(아네트)
1958, Bronze, cast number 0/6
Alberto Giacometi/쟈코메티
Switzerland, 1901-1966
Monumental Head/대단한 두상
1960, Bronze, cast number 5/6
Alberto Giacometi/알베르토 쟈코메티
Switzerland, 1901-1966
이 작품은 1956년에 뉴욕 체이스 맨해튼 은행 앞 광장에
설치할 세 작품을 의뢰받고 쟈코메티가 제작한 것이다.
쟈코메티는 로마에서 본 거대한 콘스탄틴 황제의 두상 작품에서
큰 영향을 받고 제작한 것으로,
이 작품도 커다란 두 눈과, 움푹 패인 안와와
그리고 찌푸린 미간이 있는 얼굴로 묘사되었다.
Large Bust of Diego/거대한 디에고의 흉상
1957, Bronze, cast number 2/6
Alberto Giacometi/알베르토 쟈코메티
Switzerland, 1901-1966
Woman of Venice VIII/베니스의 여인
1956, Bronze, cast number 1/6
Alberto Giacometi/알베르토 자코메티
Switzerland, 1901-1966
Large Standing Woman IV/거대한 여인의 입상
1960, Bronze, 0/6
Alberto Giacometi/알베르토 자코메티
Switzerland, 1901-1966
Head-Skull/두개골
1934, cast later; Bronze, cast number 5/6
Alberto Giacometti/알베르토 쟈코메티
Switzerland, 1901-1966
Portrait of Isaku Yanaihara/이사쿠 야나이하라의 초상화
1956, Oil on canvas
Alberto Giacometti/알베르토 쟈코메티
Switzerland, 1901-1966
1956-1961년 사이에 자코메티는
100 여 점의 초상화 작품을 그렸는데,
그중 하나가 일본 철학자 이나쿠 야나이하라의 초상화이다.
야나이하라는 1955년에 한 일본 잡지에 올릴 글을 쓰기 위해서
자코메티를 인터뷰를 한 계기로
둘 다 실존주의 철학에 관심이 많은 이유로
오랫동안 친구로 지냈다.
이 작품 속의 앉은 자세의 주인공은
빛나는 전기불 배경으로 묘사되어서
초상화라기보다는 환영에 가까운데,
자코메티는 "나는 그의 모습을 그대로 그리기보다는
닮은 모습을 그렸다."라고 말했다.
Portrait of Isaku Yanaihara/이사쿠 야나이하라의 초상화
1956, Oil on canvas
Alberto Giacometti/알베르토 쟈코메티
Switzerland, 1901-1966
Reclining Figure: Circle/비스듬히 누운 인물: 원
1983, Bronze, cast number 1/9
Henry Moore/헨리 무어
England, 1898-1986
Three Buds/세 봉오리
1957, White Marble
Jean Arp/얀 아르프
Germany, 1886-1966, active France and Switzerland
Head with Strong Chin/강한 턱의 인물 두상
1951, Oil on canvas
Jean Dubuffet/쟝 뒤뷔페
France, 1901-1985
뒤비페는 'art brut(raw art)/세련되지 않은(날 것의)
미술'파를 창설한 인물이다.
'아르 브뤼'는 전후에 가장 정직하고 대단한 미술은
사회에서 외면당한 사람들과 어린이, 죄수들 정신병을 앓는 이들에
의해서 제작된 작품이라고 믿는 그룹이다.
그래서 뒤뷔페의 이 작품의 구도는 의도적으로 단순하게 그린 라인과
아이들 닮은 모습과 거칠게 물감을 입힌 모습을 띄고 있다.
그리고 머리는 캔버스 크기에 비해서 너무 크게 표현해서
머리끝이 캔버스에 눌린 듯한 모습을 하고,
간단하게 처리된 얼굴 라인은 커다란 바위가 떠다니는 듯하다.
Still Life with Violin/바이올린이 있는 정물화
1913, Oil on canvas
Georges Braque/조르쥬 브라크
France, 1882-1963
Still Life with Bread and Fruit/빵과 과일이 있는 정물화
1917, Oil on canvas
Diego Rivera/디에고 리베라
Mexico, 1886-1957
디에고는 1907년에 멕시코 시티에 소재한 미술학교를 다닐 때에
유럽에서 공부할 장학금을 받게 되어서
파리로 건너가 1921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이 시기에 그는 피카소를 만나서 큐비즘과 접하게 되었는데,
이 작품도 당시 그가 큐비즘 풍으로 그린 것으로
다양한 각도로 테이블 위의 아이템들을 묘사했다
Artist Studio/화가의 화실
1926, Oil on paperboard
Yun Gee/윤 지
China, 1906-1963, also active US
Portrait of a Negro/흑인의 초상화
1926, Oil on canvas
Miki Hayakawa/미키 하야카와
Japan, 1899-1953, also active US
일본의 미키 하야카와와 중국의 윤지는 미국으로 이민 온 후, 1920년대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소재한 캘리포니아 미술 대학 재학생이었다.
윤지는 1927년에 파리로 건너갔다가 1932년에 미국으로 돌아왔지만,
인종차별로 큰 고초를 겪었다.
그는 "나는 친절하게 그를 품어 준 파리의 기억은 여전히 남았는데,
뉴욕으로 오니 나는 아티스트가 아니라,
그저 차이나타운에서 온 아시아인일 뿐이다.
5년간의 받은 수모를 뒤로 하고 다시
파리로 돌아가기로 했다."라고 말했다.
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하야카와를 포함해서
수 만 명의 일본 출신 미국인들은 뉴멕시코의
한 수용시설에서 생활하다가
산타 페에서 거주할 수 있는 허가를 받고
이 도시에서 정기적으로 개인전을 가졌다.
Dancing People: Candombe/춤추는 사람들: 칸돔베
c. 1920, Oil on board
Pedro Figari/페드로 피가리
Uruguay, 1861-1938
피가리는 우루과이에서 모더니즘파를 창설하고
늦은 나이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인물로,
원래는 촉망받는 정치가이자 문학가로 잘 알려졌다.
그는 이 작품에 점점 사라지는 원주민들이
아프리카에서 남미로 건너온 칸돔베 춤을 추는 모습을 담았다.
Red-Blue Chair/빨강-파랑 의자
1918 prototype; manufactured c. 1950
Painted wood
Designed by Gerrit Rietveld/헤리트 리트펠트
Netherlands, 1888-1964
Made by Gerard Van de Groenekan/헤라르드 반데 흐뢰네칸
Netherlands, 1904-1994
Composition in White, Red, and Yellow/빨강, 하얀 노랑의 구성
1936, Oil on canvas
Piet Mondrian/피트 몬드리안
Netherlands, 1872-1944, active France and US
Sideboard/찬장
designed 1919, executed 1983; Painted beechwood
Designed by Gerrit Rietveld/헤리트 리트벨트
Netherlands, 1888-1964
Made by Gerard Van de Groenekan/헤라르드 반데 흐로네칸
Netherlands, 1904-1994
Jeannette I/지네트 I
1910, Branze, cast number 4/10
Henri Matisse/앙리 마티스
France, 1869-1954
지네트 I - V는 연작으로 제작된 것은 아니지만,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로 넘어오면서
현대 조각 작품의 시작과 변천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마티스는 지네트 I과 II 작품을
쟌느 바데랑/Jeanne Vaderin을 모델로 직접 사용해서 제작되었다.
이 두 작품들은 후에 제작된 세 작품 제작에 토대가 되었는데
점점 중성화와 추상적으로 변해갔다.
그리고 점토와 청동의 표현적인 질감을
제대로 잘 사용했다는 평을 얻고 있으며,
여기에 전시된 풀세트는 세계에서 4 군데 밖에 없다.
Jeannette II/지네트 II
1910, Bronze, cast number 5/10
Henri Matisse/앙리 마티스
France, 1869-1954
Jeannette III/지네트 III
1910 or 1911, Bronze, cast number 4/10
Henri Matisse/앙리 마티스
France, 1869-1954
Jeannette IV/지네트 IV
1910 or 1911, Bronze cast number 4/10
Henri Matisse/앙리 마티스
France, 1869-1954
Jeannette V/지네트 V
1916, Bronze, cast number 5/10
Henri Matisse/앙리 마티스
France, 1869-1954
Jeannette V/지네트 V
1916, Bronze, cast number 5/10
Alberto Giacometti/알베르토 쟈코메티
Switzerland, 1901-1966
Dance(version C)/댄스
1912-13/1959, cast 1966
Alexander Archipenko/알렉산처 아르키펭코
Ukraine, 1887-1964, active France, Germany, and US
Untitled/무제
c. 1920, Oil on wood
Aleksander Rodchenko알렉산더 로쳉코
Russia, 1891-1956
Proun 3A/프라운
c. 1920, Oil on canvas
El Lissitzky/엘 리시츠키
Russia, 1890-1931
'Proun'는 "Project for the Affirmation of the New"/
새로운 것을 확인하는 프로젝트'를 뜻하는 약자로
리시츠키는 새로운 유토피아 사회에서
미술과 삶을 통합되는 것을 원했다.
1927년에 발생한 러시아 혁명의 이상적인 철학에 감화를 받고
추상적이고 아방-가르드 구성으로 제작되었다.
Evening Dress/연미복
1926; wood, cardboard, plastic, and fabric
Alexander Exter/알렉산더 엑스터
Russia, 1882-1949, active France
엑스터는 연극 제작을 사용되는 소품들을 제작하는
러시아 출신 아방-가르드 아티스트들 중 하나로
곡 제작을 앞둔 영화를 위해서 만든 마리오네트이다.
이 쾌활하고 모난 남성은
원통 모양의 팔다리와 그래픽으로 제작되어서
영화 속에서 로봇, 경찰 역할을 담당했다.
다음 편에 계속...